make your own website

금형통계

Board

[한미 FTA 발효 특집] 금형산업의 글로벌화 현황 및 정책수요

분류 : 경기동향 작성자 : 작성일자 : 2018-12-07 10:02:34

조회수 866

1.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 금형기업의 글로벌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〇 내수경기 위축과 중소 금형기업의 납품 대기업 해외시장 진출 확대 등으로 중소 금형기업의 국내 판로가 축소됨.

 〇 대외적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FTA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 금형시장인 미국과의 FTA가 금년 3월 15일 발효됨.
  - 이명박 대통령은 대·중소 동반성장의 최종 지향점으로 한국형 글로벌 기업인 스몰자이언츠 육성이라고 밝힘(2010년 9월 29일 대·중소 동반성장 보고대회).

한미 FTA 발효에 따라 한국 금형산업의 글로벌화를 살펴보고 중소 금형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〇 유럽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수준을 점검한 조사를 토대로 한국 중소 금형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1 금형산업 현황 및 2012 경기전망 조사)를 실시함.

한미 FTA 발효로 우리 금형업계는 세계 최대시장에 무관세로 진출하게 됨.

 〇 높은 수준(4.2%)의 관세철폐로 우리 금형산업의 對美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미국은 우리나라 금형생산의 41.3%를 차지하는 플라스틱 금형 세계 최대의 시장이자, 日·中·印·멕시코에 이은 우리나라 제5의 수출시장으로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금형 전체 교역 확대 폭보다 더 많이 성장한 시장임.

                          <표1> 우리나라 품목별 금형생산 실적
                                                     
                                                           (단위: 억 원, %)

종류

 플라스틱 금형  23,529 (41.3)
 프레스 금형  19,644 (34.5)
 다이캐스팅 금형  1,014 (1.8)
 기타 금형  12,723 (22.4)
 계  56,910 (100.0)
 자료: 「광업제조업통계조사보고서」, 통계청, 2009년

                   <표2> 지난 20년간 對美, 對世界 금형수출 변화 추이

                                                        (단위: 천 달러, 배)

 

 

 

1992

2011

성장폭

 對美  5,589  126,459

 22.6

 對世界  138,439  2,247,787

 16.2

 

 자료: 「무역통계」, 지식경제부, 2011년

2. 美 금형시장 현황

美 금형 시장 규모가 줄어드는 가운데 한국산 금형에 대한 수입은 증가추세


 〇 美 금형시장은 세계 최대지만 자국의 高인건비와 外産 금형 진출로 축소 추세
  - 미국 금형시장의 주 수요처는 자동차 부품 금형(41.0%)인바 높은 인건비 부담으로 자국산 금형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〇 美 금형 수입은 加産을 중심으로 東北亞 금형 수입이 확대되고 있음.
  - 미국의 금형수입은 경쟁국에 비해 지리적 접근이 유리한 加産이 다수(45.6%)인 가운데, 韓·中·日·臺 등 東北亞 국가로부터의 수입(35.3%)이 증가하고 있음.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 수입국으로부터의 금형 수입이 줄어든 가운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한바 이는 환율 상승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가 주요인

                      <표3> 美 금형시장 점유율 변화 추이
                                                                  (단위: %)

 

 

국명

2007

2008

2009

1

 캐나다

47.6

47.8

45.6

2

 중국

11.2

13.3

14.1

3

 일본

12.6

13.1

12.7

4

 한국

3.1

2.3

5.5

5

 독일

7.6

6.6

5.4

6

 대만

3.1

3.5

3.0

7

 오스트리아

1.2

1.9

1.8

8

 포르투갈

1.9

1.2

1.7

9

 이태리

1.7

1.1

1.4

10

 프랑스

1.1

1.2

1.0

 

 기타

8.9

8.0

7.8

 

 자료: 美 상무부, 2011년

한국 금형기업의 글로벌 활동 수준은 전체의 84.3%를 차지


 〇 한국 금형업계는 전체 기업의 84.3%가 수출 등 글로벌화가 진행
  - 현재 글로벌화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원청 및 1차 하청 기업을 중심으로, 日·中 등 아시아(54.0%)를 대상으로 활발한 편


중소기업의 주요 마케팅 수단인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는 금형기업은 전체의 68.6%이나, 주문/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는 비중은 낮은 편


 〇 한국 금형기업은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사 및 제품정보를 제공(97.1%)하는 경우가 가장 높으며, 주문/결제가 가능한 비중은 27.1%

                         <표4> 홈페이지 보유 및 활용 현황
                                                                   (단위: %)

 

 

홈페이지 보유

회사 및 제품정보 제공

주문/결제가능

 금형기업

68.6

97.1

27.1

 중소기업

67.9

81.5

18.5

 

 자료: 「2011 금형산업 현황 및 2012 경기전망 조사」,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우수 중소기업 데이터베이스」, 중소기업청

 〇 글로벌 활동 전개를 위한 주요 마케팅 수단인 영문으로 된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는 금형기업은 전체의 48.6%로 절반 이하 수준

                        <표5> 영문 홈페이지 보유 현황
                                                                   (단위: %)

 

홈페이지 보유

 금형기업

48.6

 중소기업

41.8

 

 자료: 「2011 금형산업 현황 및 2012 경기전망 조사」,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우수 중소기업 데이터베이스」, 중소기업청  

             <표6> 글로벌/非글로벌 활동 기업 영문 홈페이지 보유 현황
                                                                   (단위: %)

 

영문 홈페이지 보유

 금형 글로벌 기업

50.8

 금형 非글로벌 기업

36.4

 중소 글로벌 기업

50.4

 중소 非글로벌 기업

26.7

 

 자료: 「2011 금형산업 현황 및 2012 경기전망 조사」,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우수 중소기업 데이터베이스」, 중소기업청

3. 글로벌화 성과


한국 금형업계는 글로벌 활동을 전개하는 기업일수록 고용, 매출, 혁신, 경쟁력강화 정도가 높음.


 〇 2011년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 활동기업의 30.5%가 고용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여 非글로벌 활동기업(18.2%)에 비해서 높음.
  - 중소기업 전체로는 글로벌 활동기업의 50.5%, 非글로벌 활동기업의 31.3%가 고용 증가를 응답한바 양 쪽 모두 글로벌 활동의 고용창출 효과가 큼.
 
 〇 2011년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 활동기업의 54.2%가 매출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여 非글로벌 활동기업(18.2%)에 비해 높음.
  - 중소기업 전체로는 글로벌 활동기업의 60.0%, 非글로벌 활동기업의 45.1%가 매출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바 양 쪽 모두 글로벌 활동의 매출증가 효과가 큼.


 〇 2011년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 활동기업의 69.5%가 신규 상품 및 서비스를 시장에 소개하는 반면, 非글로벌 활동기업은 36.4%에 그침.
  - 중소기업 전체로는 글로벌 활동기업의 76.6%, 非글로벌 활동기업의 43.1%가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소개


 〇 2011년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 활동기업의 59.3%가 경쟁력이 강화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非글로벌 활동기업은 54.5%가 강화되었다고 응답
  - 중소기업 전체로는 글로벌 활동기업의 40.8%, 非글로벌 활동기업의 28.8%가 경쟁력이 강화되었다고 응답

                        <표7> 금형기업의 글로벌화 성과
                                                                   (단위: %)

 

고용증가: (글로벌 활동기업) 30.5, (非글로벌 활동기업) 18.2
매출증가: (글로벌 활동기업) 54.2, (非글로벌 활동기업) 18.2
혁신정도: (글로벌 활동기업) 69.5, (非글로벌 활동기업) 36.4
경쟁력강화: (글로벌 활동기업) 59.3, (非글로벌 활동기업) 54.5

 

 자료: 「2011 금형산업 현황 및 2012 경기전망 조사」,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4. 글로벌화 추진의 애로사항과 정책 수요

한국 금형기업의 글로벌화 관련 정부지원에 대한 인지도는 70.0% 수준


 〇 전체의 70.0%는 정부의 지원내용과 유관기관의 역할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글로벌화 금형기업은 이보다 높은 72.9%가 인지
  - 중소기업 전체로는 36.6%가 정부의 지원내용 또는 유관기관의 역할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기업내부 애로사항으로 전문인력 부족을, 기업외부 애로사항으로 자금부족을 지적


 〇 한국 금형기업은 전문인력(58.0%), 글로벌 추진비용(26.8%)에 대한 애로사항이 높은 편
  - 금형기업은 중소기업(35.2%)에 비해 전문인력의 애로사항이 높은 편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정부가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으로 자금지원을 선택


 〇 한국 금형기업은 글로벌화 추진시 자금부족에 대한 애로사항이 전체의 35.7%를 차지
  - 중소기업 또한 글로벌화 추진시 자금부족에 대한 애로사항(31.4%)이 가장 높음.

                      <표8> 금형기업의 글로벌화 애로사항
                                                                   (단위: %)

기업내부 애로사항: 전문인력(58.0), 글로벌 추진비용(26.8)
기업외부 애로사항: 자금부족(35.7), 해외시장 경쟁심화(8.8)

 자료: 「2011 금형산업 현황 및 2012 경기전망 조사」,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5. 결론 및 시사점

 

금형기업의 글로벌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으로, 글로벌화 수준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


 〇 금형기업의 글로벌화 성과를 살펴본 결과, 글로벌 활동기업의 고용, 매출, 경쟁력이 非글로벌 활동기업에 비해 높은 정도를 보였으며,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여 성공하기 위해서는 혁신이 가장 필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음.


 〇 현재 중소기업청에서 운영 중인 ‘中企 수출역량강화 사업’을 비롯, 뿌리산업 ·中企 적합업종 지원 사업의 강화가 필요
  - 수출초기단계기업, 非글로벌 활동기업의 글로벌 활동기업으로의 전환 등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기업요구사항을 수렴하여 강화한다면 사업의 효율성이 제고될 것임.


금형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지원


 〇 중소기업의 주요 마케팅 수단인 홈페이지를 보유한 기업은 절반 이상이나 활용도가 낮고, 글로벌화를 위한 영문 홈페이지를 보유한 경우 역시 전체 금형기업의 48.6% 수준에 머무름.
  -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품 주문이 가능한 금형기업은 전체의 27.1%, 영문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은 50.8%이나 非글로벌 기업은 36.4%에 그침.


 〇 영문 홈페이지의 경우,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중소기업 글로벌 마케팅 지원을 위한 홈페이지 제작을 지원하고 있으나 사업규모가 축소되거나 지원금액이 제한적임.


금형기업 글로벌 관련 통계자료 구축


 〇 금형기업 글로벌 관련 통계자료가 존재할 때, 금형기업 실정에 맞는 정확한 정책이 발굴될 수 있는바, 관련 통계자료 구축이 요구됨. 

 
한국금형기술교육원
한국금형기술교육원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로 49-6 (정왕동 2197-2)
TEL 02) 783-1711  FAX 02) 784-5937
사업자등록번호: 116-82-01649 대표자: 신용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상길